BC 2100 (or 1760)      아브라함 언약 체결

BC 1880 (or 1522)      야곱 가족의 이집트 이주

 

BC 1446 (or 1312)      이집트 탈출

                             - 15C설과 13C설이 있음, 13C에 람세스2세와 히타이트족 사이에 카데시 전투가 있었음

BC 1446                   지중해 테라 화산 폭발 시기

BC 1405 (or 1270)      가나안 입성

BC 1194~1184           트로이 전쟁

 

BC 1050 (or 1020)      사울 즉위

BC 930                    왕국의 분열

BC 722                   앗시리아에 의해 북이스라엘 멸망

 

BC 612                    바빌로니아(네부카드네자르 2세)에 의해 앗시리아(니느웨) 멸망

                              느부갓네살 43년(634~562)

                              마르둑 2년

                              네리글리살

                              라바시 마르둑

                              나보니두스

                              벨사살 - 나보니두스와 벨사살은 하란 귀족 출신

BC 609                    므깃도 전투(유다왕 요시야 vs 이집트 파라오 느고(win))

BC 605                    갈그미스 전투(바빌로니아의 네부카드네자르 2세(win) vs 앗시리아+이집트 연합군)

BC 605                    1차 바빌론 유수(다니엘과 세 친구), 바빌로니아의 이집트 점령

BC 598                    2차 바빌론 유수(여호야긴+에스겔_1만 여명)

BC 597(3/14)            바빌로니아의 예루살렘 공격

BC 586                    3차 바빌론 유수

BC 580                    바빌로니아(네부카드네자르 2세)에 의해 남유다 멸망

BC 550                    페르시아(키루스 2세)의 메디아(메대) 점령 

 

BC 539                    페르시아(키루스 2세)에 의해 바빌로니아 멸망 - 제국의 시작(고레스 원년)

                             키루스 2세(고레스) 29년(559~529)

                             캄비세스 8년(528~522)

                             다리우스(다리오) 36년(521~484) - 마라톤 전투

                             크세르크세스(아하수에로)(485~465) - 테르모필레 전투, 살라미스 해전

                             아르타크세르크세스(아닥사스다)(465~424)

                             아르타샤타

                             다리우스 3세(다리오)(336~330) - BC 333에 알렉산더에 의해 페르시아 제국 멸망(이수스 전투)

BC 537 (or 538)        1차 포로 귀환(총독 스룹바벨)

BC 492~479             페르시아 전쟁

BC 490                    마라톤 전투

BC 480                    테르모필레 전투, 살라미스 해전

BC 458                    2차 포로 귀환(제사장 에스라)

BC 445                    3차 포로 귀환(총독 느헤미야)

BC 431~404             펠로폰네소스 전쟁(아테네 vs 스파르타(win))

 

BC 333                   마케도니아(알렉산드로스)에 의해 페르시아 멸망(이수스 전투)

                             필리포스 2세(382~336)

                             알렉산드로스(336~323/32세에 사망)

                             - 왕조 분열. 안티고누스 왕조(마케도니아), 프톨레미 왕조(이집트 등), 셀루커스 왕조(옛 페르시아 제국 등)

BC 332                    알렉산드로스의 티루스(두로), 블레셋의 가자(Gaza) 점령

                             - 두로(티레,수르)는 원래 유대 땅과는 떨어져 있는 섬이었으나 오랜 세월 토사가 쌓여 오늘날 반도가 됨

BC 301                   프톨레미 왕조(프톨레미 1세)에 유대 합병

                             - 유대의 종교적 전통 존중, 70인역(프톨레미 2세/구약성경을 헬라어로 번역)

BC 264~241             1차 포에니 전쟁(23년/로마(win) vs 카르타고)

BC 218~202             2차 포에니 전쟁(16년/로마(win) vs 카르타고)  - 한니발(247~183) 전쟁

BC 214~205             1차 마케도니아 전쟁(마케도니아 왕조의 필리포스 5세 vs 로마)                                                                         - 마케도니아가 한니발과 동맹을 맺고 로마에 도전했으나 승패없이 끝남

BC 200~196             2차 마케도니아 전쟁

                            (키노스케팔라이 전투/마케도니아 왕조의 필리포스 5세 vs 로마의 플라미니누스 장군(win))

BC 198                   셀루커스 왕조(안티오쿠스 3세)에 유대 합병

                             안티오쿠스 3세

                             셀루커스 4세

                             안티오쿠스 4세(175~163/에피파네스, 이집트 원정이 로마로 인해 실패하자 돌아가는 길에 예루살렘 탄압, 유대의 저항 세력이 하스몬 왕조를 세움)

                             안티오쿠스 5세

BC 192~188            셀루커스 전쟁(셀루커스 왕조의 안티오쿠스 3세 vs 로마의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win))                                           - 전쟁 배상금으로 신전들(예루살렘 등) 재산 압류

BC 172~168            3차 마케도니아 전쟁

                             (마케도니아 왕조의 페르세우스 vs 로마의 아이밀리우스 파울루스 장군(win))

BC 164                   마카비 혁명

                             - 옛 제사장 가문 출신인 하스몬 가문이 셀루커스 왕조의 관리와 우상숭배에 참여하려는 유대인 살해, 게릴라전으로 예루살렘 주변에서 그리스인을 몰아내고 성전을 정화하여 하나님께 드리는 제사를 다시 거행

BC 161                   하스몬 가문이 로마와 동맹을 맺어 독립 국가의 지배 가문으로 인정 받음

BC 152                   셀루커스 왕조가 하스몬 가문의 지도자인 요나단을 대제사장으로 임명함

                             - 유대에 대해 계속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의도로 유대를 그리스와 하려는 시도를 포기

BC 150~148             4차 마케도니아 전쟁(마케도니아 왕조의 안드리스쿠스 vs 로마(win))          

BC 149~146             3차 포에니 전쟁(로마(win) vs 카르타고)

 

BC 142                    유대에 하스몬 왕조 출현

                             - 셀루커스 왕조는 세금을 면제해 주는 방식으로 유대의 독립 인정, 여러 제국들로부터 440년 만에 독립

                              시몬 마카비

                              요한 힐카누스(134~104)

                              아리스토불루스(104~103)

                              알렉산드로 야나이우스(103~76)

                              살로메 알렉산드라(76~67)

                              힐카누스 2세와 아리스토불루스 2세(67~63) - 권력 다툼으로 5만 명 사망

 

BC 63                      유대가 로마(폼페이우스)의 속국이 됨

                              - 헤롯 대왕의 아버지 안티파터(힐카누스 2세의 추종자 중 총리/에돔족 출신)에 의해 이루어짐. 내전보다는 유대가 로마에 귀속되는 것이 안전하겠다고 판단하여 로마의 폼페이우스 장군과 협정 체결

                              <로마의 황제 가문>

                                율리우스 카이사르(줄리어스 시저, 가이사/100~44암살)

                                아우구스투스(옥타비아누스, 아구스도/로마의 초대 황제/BC 29 ~ AD 14)

                                티베리우스(디베료/문서 정치/14~37)

                                가이우스(칼리굴라/37~41암살)

                                클라우디우스(글라우디오/50세에 황제에 옹립, 로마 총독과 군단이 머무는 곳을 예루살렘에서 가이사랴로 옮김/41~54중독사)

                                네로(16세에 즉위/54~68자살)

                                도미티아누스(사도 요한 유배/81~96암살)

                              <헤롯 가문>

                                - 놀라운 정치력을 발휘하여 다른 속국들과 달리 분봉 왕이라는 독특한 정치 형태 시작

                                헤롯 대왕(37~4/헤롯 가문이 분봉 왕하스몬가의 딸과 결혼, 가이사랴 건설, 예루살렘 성전 건축 시작_46년 소요)

                                헤롯 아켈라오(예루살렘, 사마리아, 에돔 지역), 헤롯 안티파스(예수님 공생애 3년/갈릴리, 베뢰아 지방), 헤롯 빌립 2세(가이사랴 빌립보 건설, 갈릴리 북동부 지역)

                                헤롯 아그리파 1세(로마 황제인 칼리굴라, 클라우디오와 친분,헤롯 빌립 2세 후임자, 사도 야고보 처형, 벌레에 먹혀 죽음)

                                헤롯 아그리파 2세(헤롯 가문의 마지막 왕, 17세에 즉위했기 때문에 이때부터 유대는 거의 로마 총독의 관할이 됨, 베스도 총독과 함께 사도 바울의 증언을 들음)

AD 6~41                 폭정으로 헤롯 아켈라오가 왕위에서 쫓겨난 후 유대 지역은 로마 총독에 의해 통치를 받게 됨

AD 6                      산헤드린 공회가 로마로부터 유대의 최고 대표기구로 인정 받음

                             - 페르시아의 관대한 포로 정책 아래에서 만들어진 유대 공동체의 지도부(총독+제사장+귀족)

AD 26~36                폰티우스 필라투스(본디오 빌라도)가 유대 총독으로 부임

AD 41~44                클라우디우스 황제와의 친분으로 유대인인 헤롯 아그리파 1세가 35년 만에 유대왕이 되었으나

                             3년 만에 병으로 사망 - 유대는 다시 총독 체제가 됨

AD 49                     유대의 3분의 1은 아그리파 2세가 3분의 2는 두 명의 로마 총독이 다스림

                             - 클라우디우스 황제가 유대에 새로운 통치 시스템을 실시

AD 64(7/18~19)        로마 대화재 - 이때부터 AD 313년까지 249년간 기독교 박해

AD 70                     (미완성)예루살렘 성전이 로마군에 의해 무너짐

 

AD 313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기독교를 공인함

AD 395                   동로마와 서로마가 나뉨

AD 392                   테오도시우스 황제가 밀라노에서 기독교를 국교로 정함

AD 476                   서로마 멸망

AD 1453                 오스만 투르크의 술탄 메메트 2세의 침략으로 동로마 멸망   

 

 

 

- 성경과 5대 제국(조병호) 참고

반응형

 

아편전쟁(1차:1840~1842, 2차:1856~1860)

잠자는 호랑이인 줄 알았는데 호구였던 형

명분 없는 전쟁의 대표격이다. 19세기 영국은 산업혁명 결과 대량 생산 체제를 갖추고 많은 물품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당시 세계 제조업 1위였던 청나라와의 무역에서는 적자가 지속되었다. 근대화를 이룬 영국은 양복을 생산하기 위해 모직이 많이 필요했지만 청나라는 여전히 비단의 수요가 많았고 청나라로부터 차(tea) 등도 많이 수입하는 영국에 비해 청나라는 수입하는 것이 별로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영국은 아편을 팔기 시작했고 그 때문에 아편전쟁이 발발했다. 동아시아에서 영국은 청나라와 대등한 무역을 하려 했지만 세계 패권 국가라고 자부하는 청나라는 은혜를 베푼다는 듯이 조공무역의 개념으로 그들을 대했다. 그때까지 잠자는 호랑이 이미지였던 청나라는 아편전쟁 이후 호구로 전락했지만 그들은 어쩌다 진 것으로 치부하고 패권의식을 그대로 가진 채 문호를 개방하기 시작했지만(양무운동) 여전히 말을 타고 전통을 유지하는 등 그 속도는 매우 느렸다.

 

메이지유신(1868)

어쩔 수 없이 문을 활짝 열어버린 꼬마

이런 와중에 일본은 메이지 유신을 통해 사회 전반에 걸친 근대화 개혁을 단행했다. 막부 시절부터 쇄국정책을 고수했으나 외압을 막을 힘이 없었기 때문에 메이지 천왕 때부터는 개국을 하자는 쪽으로 정책을 바꾸었다. 일본은 서양에 사절단을 보낸 본 후 청나라와는 달리 전면 개방하지 않으면 답이 없다고 판단하여 대량 생산 체제를 도입하고 그에 맞는 근대식 교육과정을 시작했다. 서양의 시스템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메이지 유신을 통해 중앙집권화하며 전면적 근대화를 시작한 결과 짧은 시간 내에 빠르게 성장하였다.

 

임오군란(1882)

아는 형에게 도와 달랬는데 어느 새 커버린 동네 꼬마까지 시비를 걸다

여전히 패권의식을 가진 청나라는 조선에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고 일본 역시 서서히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넓혀가려 했다. 그러던 중 조선에서는 임오군란이 일어났는데 구식 군대에 대한 차별에 항거하기 위한 군란이었다. 군인들이 난을 일으키자 조선 왕실은 당시 지배적 패권 국가로 여겨졌던 청나라에 파병을 요청했다. 좋은 기회라 여긴 청나라는 기꺼이 원군을 파병했고 조선에 대한 참견을 다시 시작했다. 하지만 조선은 원래 오랑캐 나라인 청나라를 좋아하지 않았는데 급기야 김옥균을 중심으로 한 개화파가 자주독립을 위해 청을 몰아내고자 당시 신식 군대를 가진 일본을 등에 업고 갑신정변(1884)을 일으켰다. 그런데 군대 지원을 약속한 일본이 청나라와의 충돌을 우려하여 약속을 어겼고 결국 청나라 군대가 진압하면서 3일 천하로 끝이 났다. 이후 청나라와 일본은 조선에 대한 정치적 주도권과 경제권을 나눠 챙기고 조선에의 파병과 철수를 동시에 하기로 하는 등 텐진조약(1885)을 맺었다.

 

동학농민운동(1894)

기회다 싶어 대문 안까지 들어오더니 둘이서 마당에서 싸움질

이렇게 청나라와 일본이 대등한 지위를 유지하다 조선에서 발생한 동학농민운동으로 인해 균형이 깨지기 시작했고 이는 청일 전쟁으로 이어졌다. 동학농민운동은 천도교 교조였던 최재우가 억울하게 처형당하자 교조의 신원 운동 차원에서 시작됐는데 정부가 강하게 탄압하면서 민란까지 더해져 점점 정치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동학에 의해 전주성이 함락되자 정부는 청나라에 다시 파병을 요청했다. 텐진조약에도 불구하고 패권을 가진 강력한 청군이 들어오면 단번에 정리될 것이라 생각했으나 청군이 들어온지 불과 하루 뒤 조약을 내세우며 일본군도 들어오자 조선은 크게 당황하여 농민군들과 전주화약을 맺어버렸다. 당시는 농민들 입장에서도 불리한 때였고 모내기철이 되기도 하여 화약에 응한 것이다. 조선은 청과 일본에게 변란이 끝났으니 돌아가라고 했지만 청과는 달리 일본은 사건을 조작해가며 돌아가지 않으려 했다. 일본은 청에게 같이 조선의 내정을 간섭하자고 했으나 이미 조선에 대한 영향력이 더 컸던 청으로서는 응할 이유가 없었다. 그러자 일본은 독자적으로 갑오개혁(1894)을 요구하고 경복궁을 점령하는 등 난리를 치며 조선에게 청으로부터 독립하라고 압박했다. 이후 독립선언을 하자 청나라는 화가 많이 났고 이는 청일전쟁(1894)으로 이어졌다. 전쟁에서 일본이 이기자 청나라는 정말 놀랬다. 아편 전쟁은 어쩌다 진거라고 여겼고 일본 따위는 그때까지 신경도 쓰지 않던 나라였으니 충격이 클 수 밖에 없었다. 일본은 시모노세키 조약(1895)을 통해 청나라에 배상금을 요구했는데 일본 정부의 4년치 세입 또는 현 시가로 1,000조 가까이를 받아냈다. 패권을 쥐게 된 일본은 신이 났고 조선은 청나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었다.

 

아관파천(1896~1897)

많이 커버린 동네 꼬마를 지켜보던 또 다른 형집으로 피하다

청일 전쟁 후 청나라는 절충적 개혁인 양무운동에 한계를 느끼고 사회전반의 제도들을 근본적으로 개혁하고자 변법자강운동(1898)이 일어났다. 청일 전쟁을 지켜보던 서양의 열강들은 자신들에게서 배워간 일본이 당시 패권 국가로 여겨지던 청나라를 이기자 이후 청나라를 무시하며 쳐들어와 나라 전체를 탈탈 털어버렸다.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확보한 일본은 또 청의 요동반도를 점령했는데 그때까지 잠자코 있던 러시아는 일본이 자신들의 코 밑까지 밀고 올라오자 프랑스, 독일과 연합하여 요동반도를 다시 찾아 청에 돌려주었다. 이 일을 계기로 일본은 러시아에 대한 반감을 가지게 되었는데 모든 과정을 지켜보던 고종과 조선 정부는 러시아가 힘에 있어 일본보다 우위에 있다고 판단하여 러시아와 친해지려했다. 러시아 역시 일본에 비해 자신들이 당연히 더 강하다고 믿고 있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청을 물리치려 일본을 이용하려 했는데 이제는 러시아를 이용해 일본을 물리치려 한 것이다. 사실 그때까지만 해도 일본에 대한 이미지가 그리 나쁘진 않았다. (동아시아의 패권을 쥐고 러시아나 서양과 대등한 힘을 보여준 일본을 보았기 때문인데 이러한 이미지는 러일 전쟁(1904)때까지 이어졌다.) 하지만 조선에 대한 내정간섭이 너무 심해지고 안하무인으로 행동하자 고종은 러시아와 노골적으로 친해지려는 모습을 보였다. 화가 난 일본은 을미사변(1895)을 일으키고 친일 내각을 세웠다. 1894년에서 1895년 사이에 우리나라에서는 엄청난 일들이 일어나고 있었던 것이다. 고종은 을미사변을 겪고 너무 화가 나면서 두렵기도 하여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하였고 1년간 머물렀다(1896~1897). 러시아는 조선을 먹는데는 관심이 없었고 단지 부동항을 갖고 싶어했다. 

 

러일전쟁(1904)

우리 동네 싸움짱 인증

고종은 1897년 2월 20일에 돌아온 후 대한 제국을 선포했다. 황제의 나라임을 선포하고 주변 열강들과 대등한 위치에서 외교를 하고자 했다. 이때 러시아가 슬금슬금 아래쪽으로 내려와 만주를 점령(1900) 하며 일본의 심기를 건드리자 일본은 러시아의 남하를 막기 위해 영국과 동맹을 맺었다(1902). 러시아와 일본의 사이가 극도로 안좋아져 결국 러일전쟁(1904.2.8)이 발발했다. 일본은 러시아를 이길 수 있을거라 생각하진 않았지만 선전 포고없이 선제 공격으로 압도한 후 협상을 통해 무언가를 얻어내기 위해 많은 준비를 하고 있던 터였고 인천 앞바다에서 러시아 함대를 포격한 것이 시작이었다. 러시아는 내륙으로 유인하여 싸우려고 뒤로 점점 물러났고 근대에 대회전을 해본 적이 없는 일본은 물자도 부족하여 불리함을 느꼈다. 당시 시베리아 철도가 미완성 상태라 일본군 25만 명의 전쟁 물자를 하루에 단선으로 6량 정도 운행으로 해결해야 했다. 1차 세계대전 이후에 근대 무기 체계가 완비된 일본은 그 전까지 소총 정도로만 전투에 임했다. 일본군은 정신력(사무라이 정신)으로 싸운다는 일념으로 붓과 벼루를 가지고 다니며 작전 과정을 쓰거나 기습 작전에서 '천왕폐하 만세'를 외치며 돌격(반자이 어택)하는 등 웃지 못할 상황을 연출하기도 했다. 심지어는 대전차 총검술도 했는데 군도로 전차를 자르려고도 했다. 일본은 전쟁 전에 작전 계획을 매우 세밀하게 짰는데 언제나 자기편에 최고로 유리한 상태를 가정하여 짜다보니 실제 상황이 달라지면 융통성을 발휘하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도 러시아의 31만 군이 일본의 25만을 이기지 못한 이유는 러시아도 물자가 부족한 상태였고 더욱이 러시아 내부에서 혁명(피의 일요일/1905.1.22)이 일어나 병력이 분산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었다.

 

쓰시마해전(1905)

먼 길 돌아 지친 형을 홈그라운드의 이점을 살려 박살내다

일본은 러시아의 발틱 함대를 깨부순 사건으로 러일 전쟁에서 승리했다. 탱크나 공군 전력이 없던 당시는 유일하게 강한 화력을 보유할 수 있는 해군 전력이 최첨단 무기 체계였는데 일본의 해군은 당시 강력했다. 러시아의 발틱 함대가 지구 반바퀴를 돌아 일본을 치러가는데 일단 기지가 있던 블라디보스톡으로 가서 정비를 해야했다. 항로상 최단 코스인 대한 해협을 지나는데 여기서 기다리고 있던 일본군을 만나 처참하게 당한 것이다. 이 해전을 기점으로 이후 거함거포주의가 생겨났다. 그 전에까지는 작은 함포 간에 근거리에서 쏘는 추세였지만 이후로는 크고 사정거리가 먼 함포가 중요해진 것이다. 미국의 중재로 휴전 후 일본과의 협상(포츠머스 조약/1905.9.5) 테이블에 앉은 러시아는 일본에 완전히 진 건 아니라고 여겼기 때문에 일본이 요구하는 전쟁 배상금을 줄 수 없다고 버텼고 청일 전쟁때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물자와 돈이 소진되어 파산 직전이던 일본은 결국 배상금을 받지 못한 채 전쟁을 끝냈다. 일본 자체가 러시아에 비해 국가 역량이 딸렸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불리한 협상을 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아마 러시아가 몇 달 정도만 더 버텼으면 일본은 무너졌을 수도 있었다. 러일전쟁 이후 서양 열강과 동등한 지위를 인정받고 대한제국에 대한 영구한 영향력을 보장받았지만 자국에 아무런 이득이 되지 못한 전쟁으로 인해 일본 내에서 폭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으로 패권은 가져왔지만 내부적으로 국력이 너무 허약한 상태이던 일본은 대한제국을 본격적으로 자신들의 식민지로 삼든지 통합을 시켜 대륙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 삼아야 할 필요를 느꼈다. 또한 만주와 필리핀, 인도네시아 쪽의 광대한 자원을 활용해야 할 필요도 느꼈다. 즉 정세적으로 조선이 필요했던 것이다.

 

한일병합(1910)

동거라 쓰고 주거침입이라 읽는다

1905년에 을사조약(을사늑약)이 맺어져 대한제국은 외교권이 박탈되어고 1910년 8월에는 한일 강제 병합이 되었다. 일제 강점기가 시작되었고 조선은 일본이 된거와 다름 없었다. 일본에서 얘기하는 한일합방은 대등한 의미가 있지만 한일병합은 일제의 침탈야욕을 표현한 용어이다. 1912년에는 중화민국이 설립되었는데 여진족이 세운 청나라와는 달리 한족이 세운 중국은 애국심이 있었고 청나라처럼 호구가 아니었다.

 

만주사변(1931)

동네 망나니가 된 꼬마

1929년 세계 대공황이 발생했고 일본은 내부의 문제를 타개하기 위해 만주사변을 일으켰다. 만주의 자원을 가지고 병참기지화 하려고 불법 침략한 것인데 압력을 가해 중국으로부터 독립하여 만주국이라는 국가를 세워버리게 한 것이다. 만주는 산업화가 잘 이루어진 곳으로 자원이 풍부하고 밭농사가 대규모로 가능했으며 인구도 이미 4천 3백만 명 정도가 되었다. 당시 조선에서 생산된 쌀은 대부분 일본이 다 가져가고 만주에서 생산한 옥수수, 콩 등을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공급하던 시기였다. 화가 난 중국은 일본과 중일 전쟁(1937, 실제로는 만주사변 때부터로 생각함)을 벌였고 100만 명 이상의 전사자를 내며 일본이 패했다. 중국은 청나라와 달랐던 것이다. 난징대학살(1937)도 중일전쟁 중에 일어났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소련이 동부전선에서 독일을 막아주었기 때문에 연합군이 승리할 수 있었던 것처럼 중국이 일본에 대해 버틴 것이 2차 세계대전의 종식에 영향을 주었다. 일본은 육군이 중국과 정신없이 싸우고 있을 때도 간이 부어서 해군으로 하여금 진주만을 폭격해 미국을 공격하면서 자신들의 파멸을 부르게 된다.

 

반응형

몇 달 전부터 밤에 잠을 자고 일어나면 목이 편치 않고 뻐근한 느낌이 들었다.

베개의 모양이 머리와 목을 편안히 지지해 주지 못해 그렇다는 생각을 했다.


일반 베개를 베고 누우면 뒷목 부분부터 정수리까지 약간의 각도로 목이 꺽이게 되는데 이런 상태가 나는 늘 불편했다. 이러한 불편함은 그대로 목에 반영되어 뻐근한 피로감이 가시질 않았다.



탐색 끝에 좁쌀 베개나 편백나무 칩 같은 것으로 채운 베개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고 결국 마트에서 아내와 장을 보며 조용히 편백나무 칩 베개 하나를 카트에 던졌다.


확실히 편했다.

둥근 베개가 목과 머리 사이를 지지해 주어 머리가 약간 젖혀지는 느낌이 좋았다.

옆으로 돌아누울 때도 훨씬 편해졌다.



그렇게 몇달이 흘렀다.


며칠 전 우연히 거실에서 낮잠을 자려다가 (개인적으로) 엄청난 발견을 하게 되었다!!

납작한 베개 위에 거실에서 굴러다니던 여행용 목베개를 아래 사진처럼 놓고 누웠는데..



그렇게 편할 수 없었다.

편백나무 칩 베개만 사용했을 때보다 훨씬 편했는데 목과 머리를 양쪽에서 지지해 주어 그런 것 같았다.


이후 일반 베개 뿐 아니라 편백나무 칩 베개 위에 놓고 사용을 했을 때도 마찬가지 효과를 누릴 수 있었다.

이럼 굳이 편백나무 칩 베개가 필요없을 정도로..


그래서 요즘에는 아래 사진처럼 베개와 여행용 목베개를 같이 놓고 누워 잔다.



목이 아프거나 수면 때마다 목의 피로 때문에 불편함을 느끼는 분들이 있다면

 이렇게 여행용 목베개 하나로 훨씬 편하고 피로를 푸는 시간을 가질 수 있을거라 생각한다.



굿~ 잠!



반응형

울산에 있는 장생포 고래박물관에 갔다가 평소에 궁금해 하면서도 굳이 무엇인지 찾아보지 않았던 것을 마주하고 미루지 말고 이번엔 궁금증을 해결해보자 마음 먹었다.


아래 있는 배 사진을 보면 숫자들이 눈금 형식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 아래로 배열되어 있다.


<출처:장생포 고래박물관 앞>


그렇다. 이 숫자들은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데 잘 보면 숫자와 숫자 사이 간격이 10cm이고 숫자 자체도 10cm 높이로 그려져 있다.

당연한 얘기지만 배가 바다 위에 있을 때는 위 숫자 중 수면 아래의 것은 보이지 않을 것이다. 만약 1M 위의 4라는 숫자 바닥면과 수면이 일치한다면 이때는 배가 잠긴 깊이가 1m 40cm인 것을 의미한다! 즉, 수면에 걸쳐서 보이는 숫자는 이 배가 현재 잠긴 깊이(흘수)라고 생각하면 된다.


<출처:블로그>


그런데..!! 굳이 잠긴 깊이를 알아야 할 이유는 무엇일까?


배는 물 위에 있을 때 자신의 무게만큼의 물을 밀어낸 채 떠 있다. 이것은 자신이 밀어낸 만큼의 물의 무게와 배 전체의 무게가 같음을 의미하고 이는 다시 물이 배를 떠받치는 힘(부력)의 크기와도 같다. (아르키메데스의 원리)


배 전체의 무게 = 밀어낸 물의 무게(배가 물에 잠긴 만큼의 물의 무게) = 물이 떠받치는 힘(부력)


그런데 상식적으로 생각해 볼 때 배에 짐을 많이 실을수록 배 전체의 무게가 늘어나고 잠기는 부분은 깊어질 것이다. 즉, 위에 배열된 숫자와 수면이 만나는 위치가 높아질 것이므로 한계 이상의 짐을 싣는다면 안정성에 문제가 생겨 위험해질 것이다. 그래서 배마다 최대한 실을 수 있는 짐(화물과 사람 등)의 양을 정해 놓았는데.. 


이때 적정한 양만큼 실었는지 확인하는 쉬운 방법이 위 눈금과 수면이 만나는 숫자를 읽는 것이다. 한계선보다 더 많이 잠겨 있다면 위험하므로 출항을 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만약 이를 어기고 평형수 등을 줄이는 대신 짐을 더 싣거나 한다면 위법이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위에서 얘기한 '한계선'도 배에 표시를 해두면 눈으로 보고 적정한지 금방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실제로 배 측면에는 위 숫자 배열 뿐 아니라 아래와 같은 특이한 눈금이 더 있다.


<출처:다음>


위 오른쪽 눈금들은 계절 혹은 지역에 따라 정해진 '한계선'이다. 

기호들을 읽어보면 다음과 같다.


TF : 열대 담수 한계선

F : 담수 한계선

T : 열대 한계선

S : 하절기 한계선

W : 동절기 한계선


물은 온도가 높을수록, 염분이 낮을수록 밀도가 작다. 배의 무게가 그대로라면 물의 밀도가 작을수록 배는 더 깊이 가라앉는다. 위의 하절기 한계선(S)이 동절기 한계선(W)보다 위에 있는 이유는 (배 전체 무게가 같더라도) 날이 덥고 바닷물이 따뜻할 때 더 깊이 가라앉는 자연스런 현상을 반영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담수 한계선(TF, F)이 일반 바다 한계선(T, S, W) 보다 위에 있는 이유는 염분이 적은 물에서 배가 더 깊이 가라앉기 때문이다.


위의 한계선은 법적으로 반드시 지켜야 하는 선이라서 계절 혹은 지역적 특성을 감안한 한계선보다 수면이 위에 있는 상황이면 출항하지 못한다. 안전을 위한 것이다.


<출처:다음 블로그>


대략 개인적인 궁금증이 해결되었는데 이 글을 보시는 분들도 쉽게 이해 하실 수 있도록 가능한 어려운 용어는 배제했다.

배제했던 원래 용어들을 아래에 적어본다.


숫자 눈금과 수면이 만나는 선 = 흘수선

(짐을 허용된 만큼 최대한으로 실었을 때의) 한계선 = 만재흘수선


반응형

기차 덕후인 아들의 책들을 보다가 나도 관심이 생겨 기차의 역사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 보았다.


기차든 자동차든 이런 거대한 기계들을 동작시키는 데는 엔진이 필요하다. 엔진은 여러 에너지(열, 전기 등)들을 기계를 동작시키는 기계적 에너지로 바꾸어주는 장치이다. 사람으로 따지면 심장과도 같은 존재이다.


심장(엔진)의 역사를 아는 것이 기본적인 기차의 역사를 이해하는 첫걸음인 듯 싶다.

기본적인 발전 과정은 다음과 같은데 여기서 기관은 그냥 엔진이라고 생각해도 된다.


사람 -> 동물(말 등) -> 증기 기관 -> 디젤 기관 -> 전기 기 -> 전자기력 이용 기관


(사람 또는 동물이 운송 수단을 끄는 과정은 건너 뛰자.)



1. 기록된 최초의 증기 기관 - 증기를 이용한 엔진 - 은 1세기 헤론의 '아일러파일'이다. 이것은 그냥 장난감 수준으로 헤론은 이 증기의 힘으로 무얼 해보려는 시도는 하지 않았던 것 같다.


<헤론의 증기 기구 / 출처:나무위키>



2. 이후로도 증기의 힘을 이용해 무언가를 해보려는 시도는 계속 이어져 오다가 17세기 후반이 되면 실용적인 증기 기관이 등장한다.


1690년에 프랑스 출신의 위그너 교도인 파팽이 피스톤으로 구동되는 증기기관을 최초로 고안한다. 하지만 물을 끓인 후 피스톤을 움직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실용적이지는 못했다. (참고로 파팽은 하위헌스, 보일과 함께 일했으며 세계 최초의 압력솥을 발명한 사람이다.)


<파팽의 피스톤 / 출처:사이언스올>


1712년에는 뉴커먼이 상업적으로 성공한 최초의 증기기관인 '뉴커먼 기관'을 개발한다. 하지만 수증기를 재사용하기 위해 실린더 안에서 냉각시킨 후 다시 가열하는 방식이라 열효율이 겨우 1% 정도였다고 한다.


<뉴커먼 기관 / 출처:티스토리 블로그>


1769년에는 와트가 분리응축기를 고안했는데 이것은 수증기를 관을 통해 뽑아낸 후 실린더 바깥에서 냉각시키는 장치이다. 분리응축기로 뉴커먼 기관을 개량하여 열효율을 향상시켰는데 이후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 쓰이면서 와트의 새로운 증기기관은 만능동력원으로 각광을 받게 된다.


<뉴커먼과 와트의 증기기관 비교 / 출처:티스토리 블로그>



3. 증기기관의 발달로 증기 기관차가 등장하게 되었다.


1800년에는 트레비식이 최초의 고압 증기기관을 발명했다.

1804년에는 트레비식이 고압 증기기관을 이용해 세계 최초의 증기 기관차(페니다렌)을 만들어 철도 위를 달렸다. (와트의 응축기를 없애고 바퀴를 달았는데 이 때문인지 와트는 달갑게 여기지 않았다고 한다.)


<세계 최초의 증기 기관차 '페니다렌' / 출처:유튜브>


1830년에는 로버트 스티븐슨이 만든 로켓 기관차가 끄는 세계 최초의 승객용 열차가 영국의 리버풀과 맨체스터 사이 50km 구간을 2시간만에 달리게 된다. (같은 해 미국 최초의 증기기관차인 톰섬호가 개통되었으나 개통 첫날 말과의 경주에서 졌다.)


<로버트 스티븐슨의 '로켓호' / 출처:다음백과


1854년에는 영국의 런던에 패딩턴 역이 문을 열었는데 이 곳에서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를 타고 310km 떨어진 엑스터까지 여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 전까지 역마차로 5일 걸리던 여행이 5시간으로 줄어들었다.)

1863년에는 최초의 지하철이 런던에서 개통되었다.

1869년에는 최초의 대륙 횡단 철도가 미국에서 완공되었는데 미국의 동-서 2860km 구간을 시속 30km로 달렸다. (건설 당시 인디언들이 이 철도를 '철마'라고 부르며 건설을 저지하기 위해 공격했다고 한다.)


<세계 최초의 대륙횡단철도 / 출처:네이버 블로그>


1939년에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증기기관차인 '맬러드'가 영국의 그랜트햄과 피터버러 사이를 시속 201km로 달렸다.



4. 1930년대부터 독일과 미국 등에서 디젤 기관차가 등장한다.


1932년 독일의 디젤 기관차인 '플리겐데 함부르거'가 함부르크와 베를린 사이 287km 구간을 최고 시속 160km로 달렸다. (플리겐데 함부르거를 영어로 번역하면 '날으는 햄버거'가 된다.)

1950년대 후반에는 북아메리카에서 달리던 대부분의 열차를 디젤 기관차가 이끌었고 약 10년 뒤에는 유럽과 북아메리카의 철도에서 증기 기관차가 거의 사라졌다.



5. 제2차 세계대전(1939~1945)으로 프랑스, 독일 등의 나라에서 거의 모든 철도가 폭격으로 파괴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선로를 복구하면서 전기로 철도를 운행하는 전철화 작업도 함께 진행되었다.


1837년에 이미 스코틀랜드의 로버트 데이비슨이 세계 최초로 전기 자동차와 전기 기관차를 만들었으나 증기 기관차 운전사들에 의해 부숴졌다.

1879년에는 독일의 베르너 폰 지멘스가 베를린에서 처음으로 전기 기관차를 만들었다.

1955년 프랑스 보르도 근처에서 각각 세 량의 객차를 끄는 전기 기관차 두 대가 시속 331km로 달리는 기록을 세웠다.

1964년 일본의 신칸센(고속 열차)이 도쿄와 오사카 사이를 시속 160km가 넘는 속도로 달렸다.

1990년 프랑스의 테제베(고속 열차)가 시속 515km로 달리는 데 성공했다.

1998년 일본의 자기부상열차(MLX01)가 시속 550km로 달리는 신기록을 세웠다.



6. 초고속 기차를 포함해 여러 전기 기관차들은 철도 위쪽의 전력선이나 아래쪽 선로에서 전기를 공급받는다. 하지만 전기 공급 장치를 설치하기 힘든 경우도 있기 때문에 디젤 전기 기관차는 디젤유(경유)를 따로 싣고 다닌다.



7. 세계에서 가장 빠른 기차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자기 부상 열차이다. 2015년 일본에서 실제 크기의 초고속 자기 부상 열차로 시험 운행을 했는데, 무려 시속 603km로 달리는 데 성공했다.




반응형

보안 점검 및 처리과정에서 윈도우 비번을 변경 후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대개 내가 새로 설정했다고 믿고 있었던 비번이 로그인 화면에서 먹히지 않을 때 많은 당황을 한다. 나도 그렇고 주변 동료들도 겪곤 하는 일..;;


그래서 윈도우 비번을 알아내거나 초기화 하는 방법을 이래저래 알아보다가 몇 번 성공한 경험을 바탕으로 간략하게 정리해 둔다. 일단 비번을 알아내는 방법은 모르겠다. 하지만 임의의 번호(예:1234)로 변경(초기화)은 할 수 있다!


단, 이 방법은 윈도우7 CD가 있을 때 가능한 방법이다. (또는 부팅용 usb가 있으면 된다.)



1. CD를 넣고 재부팅한 후 윈도우 설치 화면으로 들어간다.

2. 설치 첫 화면에서 Shift+Enter를 눌러 명령 프롬프트 창을 띄운다.

3.  copy c:\windows\system32\cmd.exe c:\windows\system32\sethc.exe 를 입력 후 엔터를 치면 '덮어쓰시겠습니까?'
    (만약 C드라이브로 안되면 D, E 등 시도)

4. 'Y'를 입력 후 엔터를 치면 '1개 파일이 복사되었습니다.'

5. 프롬프트 창을 닫고 윈도우 설치를 취소 후 빠져나오면 자동으로 재부팅된다. (CD 제거)

6. 윈도우 로그인 창에서 Shift를 연속으로 여러번 치면 명령 프롬프트 창이 뜬다.

7. net user를 치면 사용하고 있는 계정들이 뜬다. (Administrator, ower, Guest 등)

8. net user Administrator(또는 ower) 1234를 입력 후 엔터를 치면 비밀번호가 '1234'로 초기화 된다.

9. 명령 프롬프트 창을 닫고 로그인 창에서 '1234'를 치면 로그인에 성공한다.

10. 이후 제어판에서 원하는 비밀번호로 변경하면 끝.


정확하게 이대로 했다면 반드시 성공한다!

반응형

내가 고등학교 다닐 때 어느 선생님이 가르쳐 주신 방법이다.

유용한 점은 월일만 알면 해당일의 요일을 바로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아래 내용은 자세히 설명하려다보니 길어지고 복잡해 보이는 것일 뿐. 사실 월의 지정숫자의 빨간색의 공식만 알고 있으면 암산으로 금방 알아낼 수 있다.(연도 지정숫자는 그 해의 아무날이나 하루만 해보면 알 수 있다.)







몇 번 연습하다보면 요일을 금방 알아 낼 수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